링겔만 효과

독일 심리학자 링겔만은 집단 속 개인의 공헌도를 측정하기 위해 줄다리기 실험을 해봤다.
1대1 게임에서 1명이 내는 힘을 1백으로 할 때 참가자수가 늘면 개인이 어느 정도의 힘을 쏟는지를 측정했다.
2명이 참가하면 93으로, 3명이 할 때는 85로 줄었고 8명이 함께 할 때 한 사람은 49의 힘, 즉 혼자 경기할 때에 비해 절반 밖에 내지 않았다.

참가하는 사람이 늘수록 1인당 공헌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이런 집단적 심리현상을 '링겔만 효과'라고 부른다.

자신에게 모든 책임과 권한이 주어져 있는 1대1 게임과는 달리 '여러 명' 가운데 한 사람에 불과할 때는 사람은 전력 투구하지 않는다.
익명성이라는 환경에서 개인은 숨는 것이다.

미국에선 다른 실험이 있었다.

한 청년이 일광욕을 즐기던 휴가객 바로 옆에서 녹음기를 틀어 놓고 음악을 즐기다 바닷물에 뛰어든다.
다음엔 도둑 역할을 맡은 사람이 녹음기와 옷가지 등 그 청년의 소지품을 챙겨 슬그머니 달아난다.
누가 봐도 도둑임에 분명했지만 20회 실험 중 단 4명만이 그 '도둑'을 잡으려고 시도했다.

똑같은 상황인데 하나만 바꿔봤다.
청년이 바닷물에 뛰어들기 전 "제 물건 좀 봐주세요"라며 직접 부탁을 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거의 전부랄 수 있는 19명이 도둑을 잡으려고 위험을 무릅썼다.

미국 심리학자 로버트 치알디니 박사는 이것을 '일관성의 원리'로 해석했다.
지켜주겠다고 약속 한 만큼 자신의 말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게 된 결과라는 것이다.

자신이 여러 명 중의 한 명, 또는 주목 받지 않는 방관자로 취급받을 때 사람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최선을 다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혼자만의 책임일 경우나 자신이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한 경우에는 위험까지 감수한다.

회사나 조직은 개인들이 각자 활동할 때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만든 집단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전체의 힘은 개인의 힘의 합보다 적어져 버린다.

이런 현실에서 경영자의 과제는 무엇인가?
개인에게 '주인 의식'을 심어주는 것이다.
방관자가 되지 않도록, 익명의 커튼 뒤에 남겨지는 일이 없도록 배려하는 일이다.
주인의식은 절대 상투적인 당위가 아니다.
문제는 주인의식이 어지간한 장치로는 생겨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개인에 대한 따뜻한 관심,
책임과 함께 권한을 분명히 해줄 때 몰입이 생겨나는 것이다.


[리더스피아 펌]


======================================================================================================================


제가 에이전시에서 팀장이라는 직급을 달고 있을때


가장 고민했던 부분이 바로 "주인의식" 이었습니다.


소위 몇몇 '능력있는' 개발자, 디자이너들은 소신껏 자신의 일을 처리하고 그안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문제들을 스스로 처리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하지만 몇몇 개발자, 디자이너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만 하라고 했으니 그이상은 안하려고 하더군요.


거기서 발생되는 예기치 못한 문제들을 '추가'되는 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하기 싫어하거나 한다고 해도 마치 자기가 나를 위해 일을 해주었다는 것을 티를 내는 모습도 보았습니다.


전 그 직원들한테 (저보다 나이가 많은 -_-a) 주로 프로젝트가 완료 되면 우리한테 어떤 포트폴리오가 되고


이것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면 회사에 어느정도의 자금이 들어온다.


또는 클라이언트를 안주삼아 저사람한테 일 빨리 끝내주고 술한잔 하자


이런식으로 도모를 많이 했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더군요.


전 그 이유를 개개인의 역량차이라고 생각해버리곤 했는데


저 글을 읽고 나니 프로젝트에 투입된 인원이 많을수록 더욱더 그랬다는것을 느꼈습니다.




팀장이 팀원들에게 또는 내가 누군가에게 주인의식을 심어주고 동기부여를 해주는것.


그리고 주인의식이 투철한 팀원이 팀장에게, 다른 누군가가 나에게 또 다른 동기부여가 되는것.


이런것이 바로 win-win 전략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 Recent posts